[취재현장] 강기정 광주광역시장ㆍ 임용민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장축하속에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2026년도 평가대비 재가장기요양기관 역량강화 교육 성황리 개최

-어르신보호차량 스티커 나누며 안전 홍보

2025-11-24     박부길 기자

[광주일등뉴스=박부길 기자]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은 24일 오후 1시, 광주광역시 교통문화연수원에서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 ‘2026년도 재가장기요양기관 평가 대비 역량강화 교육’과 어르신보호차량 스티커 나눔 행사를 가졌다고 밝혔다.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은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 2026년도 평가대비 재가장기요양기관 역량강화 교육에 앞서 재가장기요양기관 차량에 '어르신보호차량 스티커'를 부착하며 “광주시는 재가돌봄기관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해 어르신들이 안전하고 존중받는 도시가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말했다.
어르신보호차량 스티커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임용민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장, 문희봉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광주지부회장(광주효광노인복지센터대표, 송원대학교겸임교수), 나정숙 센터장은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 2026년도 평가대비 재가장기요양기관 역량강화 교육에 앞서 재가장기요양기관 차량에 '어르신보호차량 스티커'를 부착하며 "어르신들이 더욱 안전하고 존중받을수 있도록 함께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임용민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장, 문희봉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광주지부회장(광주효광노인복지센터대표, 송원대학교겸임교수), 오명란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광주지부수석부회장, 임영빈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전문강사, 구진성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광주지부기획국장, 정성훈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광주지부 북구지회장, 조미경 광주대학교 교수, 선향송 센터장, 나정숙 센터장, 박화순 센터장, 김옥자 센터장, 광주지부회원들은 "어르신들이 더욱 안전하고 존중받을수 있도록 함께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며 화이팅을 외쳤다.

이날 행사에는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임용민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장, 문희봉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광주지부회장(광주효광노인복지센터대표, 송원대학교겸임교수), 오명란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광주지부수석부회장, 임영빈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전문강사, 구진성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광주지부기획국장, 정성훈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광주지부 북구지회장, 조미경 광주대학교 교수, 선향송 센터장, 나정숙 센터장, 박화순 센터장, 김옥자 센터장, 광주지부회원들이 참석해 종사자들과 소통하며, 현장의 의견을 청취했다.

이번 행사는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 광주지부가 주최한 교육으로, 2026년도 평가 대비 재가장기요양기관 종사자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중요한 자리였다.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은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2026년도 평가대비 재가장기요양기관 역량강화 교육에 참석해  "어르신 돌봄 현장을 지키는 종사자 여러분의 노력이 광주의 돌봄 품질을 높이는 중요한 밑거름이 된다"며, "광주시는 재가돌봄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해 어르신들이 안전하고 존중받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은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2026년도 평가대비 재가장기요양기관 역량강화 교육에 참석해 축사를 전하고 있다.

식전행사로 강기정 광주광역시장과 (사)한기협 회원들이 함께 참여한 ‘어르신보호차량 스티커 100대 부착 행사’가 진행되었다. 현장에서 배포된 스티커는 선착순으로 어르신 보호 차량에 부착되었으며, 이를 통해 참석자들은 어르신 보호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한 캠페인에 참여했다. 또한, 행사 중에는 요들송 공연도 열려 분위기를 한껏 고조시켰다.

강기정 시장은 개회식에서 종사자들을 격려하며 “어르신 돌봄 현장을 지키는 여러분의 노력이 광주의 돌봄 품질을 높이는 중요한 밑거름이 된다”고 감사의 말을 전했다. 이어 “광주시는 재가돌봄기관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해 어르신들이 안전하고 존중받는 도시가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 시장은 또, “어르신보호차량 스티커 부착은 작은 실천이지만 큰 의미를 지닌다”며, "시민 모두가 어르신을 배려하는 따뜻한 광주를 만들기 위해 지속적으로 다양한 정책과 캠페인을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희봉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광주지부회장은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2026년도 평가대비 재가장기요양기관 역량강화 교육에 참석해 "광주지부가 재가장기요양을 대표하는 기관으로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며, 재가복지가 우리 지역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2026년도 평가대비 재가장기요양기관 역량강화 교육에 참석한 회원들이 문희봉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광주지부회장의 인사말을 꼼꼼히 청취하고 있다.

문희봉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광주지부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우리 재가복지 기관들이 노인복지와 통합돌봄의 최일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현재 현장에서는 많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강기정 시장님께서 재가복지에 대한 더 많은 관심과 지원을 기울여주시길 부탁드린다"라고 덧붙였다.

또한, 문 회장은 중앙협회 임용민 회장과 임영빈 강사에게도 감사의 뜻을 전하며, "임용민 회장님은 항상 우리 회원들을 위해 많은 지원과 노력을 아끼지 않으시고, 임영빈 강사님은 내년 평가를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교육을 제공해 주실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조미경 광주대학교 교수는 통합돌봄 설명, 자문 위원장 수락 인사를 했다.

임용민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장은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2026년도 평가대비 재가장기요양기관 역량강화 교육에 참석해 "광주지역은 715개 방문재가 복지센터가 있고, 주야간 162개, 총 1300개 센터가 있다.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는 센터장들의 권리향상을 위해 불철주야 열심히 뛰고 있으니, 협회를 믿고 잘 운영해주시길 바란다."라고 축사를 전했다.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2026년도 평가대비 재가장기요양기관 역량강화 교육에 참석한 회원들이 임용민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장의 축사를 꼼꼼히 청취하고 있다.
임영빈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전문강사는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2026년도 평가대비 재가장기요양기관 역량강화 교육에서 2026년 장기요양기관 재가급여 평가 매뉴얼(평가자 준수사항, 매뉴얼 일반사항, 평가지표, 평가 매뉴얼) 설명하고 있다.
조미경 광주대학교 교수는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2026년도 평가대비 재가장기요양기관 역량강화 교육에서 '재가장기요양기관 실무자 대상 사례관리교육 노인통합돌봄 사례관리 매뉴얼 개발'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임용민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장, 문희봉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광주지부회장(광주효광노인복지센터대표, 송원대학교겸임교수), 오명란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광주지부수석부회장, 임영빈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전문강사, 구진성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광주지부기획국장, 정성훈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광주지부 북구지회장, 조미경 광주대학교 교수, 선향송 센터장, 나정숙 센터장, 박화순 센터장, 김옥자 센터장, 광주지부회원들은  "어르신들이 더욱 안전하고 존중받을수 있도록 함께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며 화이팅을 외쳤다.

이어 임영빈 강사의 2026년 대비 평가교육이 진행되었다. 이번 교육에서는 재가장기요양기관 종사자들이 평가 준비를 위해 꼭 알아야 할 핵심 사항들을 다루었으며, 현장에 바로 적용 가능한 유익한 정보들이 제공되었다.

종사자들은 이번 교육을 통해 재가장기요양기관의 품질을 높이는 데 필요한 전문성과 실무 능력을 강화할 수 있었다.

교육 중에는 후원사 광주광역시, 교통문화연수원,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와 중앙협회 소개도 이루어졌으며, 교육 종료 후에는 종사자들과 후원사들이 함께 소통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

광주광역시와 (사)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는 어르신보호차량 스티커 나눔 행사를 갖고 어르신이 더욱 안전한 광주광역시를 만들기 위한 인식 확산과 안전문화 정착에 힘을 모았다.

강기정 시장은 이번 교육이 재가장기요양기관 종사자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중요한 기회였다고 평가하며, 앞으로도 지역사회와 협력해 어르신 안전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다할 것을 다짐했다.

이번 행사에서 진행된 교육과 캠페인은 재가장기요양기관 종사자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사회 내 어르신 안전에 대한 인식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