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4-03-28 16:47 (목)
[강원구 칼럼] 강원구 박사의 중국여행 5
[강원구 칼럼] 강원구 박사의 중국여행 5
  • 박부길 기자
  • 승인 2018.03.23 11: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인 제일 좋아하는 숫자는 9

[광주일등뉴스=박부길 기자]중국인이 한국인, 일본인 모두가 싫어하는 숫자는 ‘4’ 다. 四를 싫어하는 것은 죽을 사(死)와 발음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좋아하는 숫자는 6, 8, 9다. 六을 좋아하는 이유는 발음이 ‘류’로 소리 나기 때문에 流(류) 발음과 같아 모든 일이 흘러가듯이 잘 풀린다는 뜻이다.

八은 돈을 벌다 파차이(發財)의 발자와 발음이 비슷하다고 좋아한다. 중국에서 가장 좋아하는 숫자는 9로, 9는 양의 가장 큰 숫자이다. 그래서 자금성의 방도 9,999칸이며, 큰 명절이면서 양이 가장 많은 중양절인 9월 9일이다.

중국인들처럼 복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없을 것이다. 새해가 되면 온통 복자 판이다. 그런데 이상하게 복자를 거꾸로 메달아 놓는다. 복자를 거꾸로 메달아 놓은 이유 중의 하나가 다름 아닌 박쥐에서 나왔다고 한다. 박쥐는 한자로 편복(蝙蝠)이다. 편복의 복(蝠)자가 복(福)과 발음이 같기 때문에 복자를 박취처럼 거꾸로 메달아 놓는데, 하늘에서 복이 떨어지라는 뜻이다.

우리나라에도 옛날 그림에 박쥐들이 많이 들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중국에는 다섯 마리의 박쥐를 만들어 놓은 것이 있다. 우리는 박쥐를 좋아하지 않지만, 중국은 복으로 사용한 것을 보면 박쥐를 좋아하는 것 같다.

다양한 장례문화를 볼 수 있다.  중국의 장례문화는 거의 화장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등소평(鄧小平)도 화장하여 재를 전국에 뿌렸다. 우리나라는 묘지 문제가 심각하다. 그러나 중국은 어디를 가도 묘지 문제에 대해서는 걱정이 없다. 가끔 옛날 묘가 보이며, 현재도 우리 묘처럼 봉분을 하는 곳도 있다.

백두산으로 가는 길은 마을이 별로 없다. 그래서 사람이 죽으면 화장하기 힘들기 때문에 묘지를 써도 괜찮은 지역이 있다. 대련에서 심양을 기차를 타고 가다 보면 묘지가 많이 보이는데, 이것은 옛날에 매장했던 곳들이다. 우리 민족이 많이 살고 있는 용정의 일송정을 오르다 보면 공동묘지가 많다는 것을 볼 수 있다.

항주에서 산 속으로 들어가면 개인 묘지가 있다. 요즈음 매장한 것들인데, 힘이 있는 사람은 매장해도 된다는 곳도 있다. 서안 지방은 밭 가운데에 묘지들이 보인다. 마카오를 지나 주해나 중산시에도 대만이나 일본의 오키나와의 무덤과 같은 것들이 많이 보인다. 장가계의 경우 토가족들이 살고 있는 곳에도 묘가 많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대체적으로 무덤이 없지만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곳, 간혹 지방에 따라 많이 보인다. 홍콩은 땅이 좁기 때문에 묘지 값이 아파트 값보다 비싸며, 대만은 묘지에 일반인들이 사는 집 같이 만들어 논 것도 있다. 묘지 문에 편지함까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티베트는 신국(神國)으로 육신에 대한 관심이 별로 없다. 윤회사상을 중시하는 그들에게 중요한 것은 현생이 아니라 내생이고, 육신이 아니라 정신이다. 육신은 정신을 담는 ‘영혼의 집’이지만 정신이 떠난다면 아무 데도 쓸데없는 고깃덩이로 인식한다.

따라서 티베트 사람들은 죽으면 자신의 몸을 독수리나 까마귀에게 보시한다. 천장(天葬)이라는 그들만의 장례의식이다. 끔찍하기 이를 데 없지만 종교적 열정으로 가득한 티베트 사람들만이 할 수 있는 장엄한 종교의식이다.

‘신체발부 수지부모(身體髮膚 受之父母)’라 해서 죽어서도 몸이 훼손되는 것을 두려워하는 한국인들과는 달리 티베트 사람들은 죽으면 자신의 몸을 과감히 자연으로 되돌리는 것이다. 이들은 장례의 모든 것을 관광객에 공개하지만 천장만큼은 공개하지 않는다. 여행객이 이 광경을 멀리서 카메라에 담다 봉변을 당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 없는 황량한 황무지에 시체를 땅에 누인 뒤 천장사가 칼로 둔부와 종아리 그리고 팔을 마치 회를 뜨듯 떠낸다. 섬뜩할 정도로 충격적이지만 독수리가 조금이라도 먹기 편하도록 시신에 칼집을 낸다는 것이다.

천장사가 칼질을 마친 후 비켜나면 기다리고 있던 독수리들이 몰려들어 시체를 뜯는다. 독수리들이 마지막 남은 살 한 점까지 깨끗이 먹어 치운 뒤 완전히 시체를 육탈시키고 물러난다. 독수리가 물러나면 유족들은 해골과 무릎 뼈를 챙겨들고 천장 터를 나선다.

좋은 날은 폭죽의 나라로 변한다.

 

중국의 가장 큰 명절인 춘절(春節)에 0시를 기하여 여기저기에서 잇따른 폭발음이 들려 왔다. 마치 전쟁터 같은 착각이 들 정도였다. 거리엔 갖가지 폭죽놀이가 밤하늘을 가득 채우고 있었다.

잡귀를 물리치고 복을 빌기 위해 폭죽놀이를 즐기는 춘절의 세시풍속이지만 1993년부터 북경 시내에서 폭죽놀이가 금지되기도 했으나, 전통을 중시하는 중국인의 정서 때문에 당국이 묵인하고 있는 상태이다.

중국사회과학원의 한 교수는 예로부터 제왕이 폭죽놀이를 통해 백성들과 어울리며 운을 빌었던 이 풍속이 1천 년 가까이 지속된 것은 그 만큼 가치가 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폭죽놀이는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흥미롭다. 외국인의 눈에는 더더욱 그렇다. 귀가 터질 것 같은 폭발음도 폭죽의 종류에 따라 달랐기 때문에 흥미로움을 더해 준다. 우리나라 세시풍속에 대보름날 들판에 나가 불 깡통을 돌리다가 하늘로 내던져 밤하늘에 아름다운 불꽃을 수놓게 하는 것을 연상시킨다.

상술(商術)은 세계 제일이다.

장사 때문에 거금을 소지하고 있을 때는 반드시 우선적으로 안전을 생각하라. 될 수 있는 한 짐을 줄이고 목적지에 빨리 도착하도록 하라. 동업자끼리 공동거래를 할 경우라도 반드시 계약을 체결하라. 서로 갈라지게 되면 분쟁이 생겨 손실을 입는다.

중요한 금품은 충분히 신뢰감이 가는 사람을 골라서 의탁하며, 상품을 처분할 때는 먼저 지불을 요구하라. 떠나기에 앞서서는 설령 집안의 아내라 하더라도 행선지를 알리지 말라. 집에서 한 걸음 나오면 귀신같이 신속히 이동하고, 거룻배를 탈 경우에는 주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특히 자신이 장사꾼이란 것을 뱃사공이 알지 못하게 하라.

육로로 갈 경우에는 화려한 옷차림을 하지 말고, 무거워 보이는 자루나 상자를 지니지 말라. 배를 타거나 말을 타고 갈 때, 뱃사공이나 마부에게 짐을 맡기지 말라.

아침에 일찍 출발하고, 아직 해가 훤할 때 숙박을 정하고, 어두워지면 마차나 배를 타는 것을 경계하라. 거리에서 호객 하는 여자가 있더라도 상관하지 말며, 우연히 길에서 만난 동업자도 조심하라.

항상 주의를 게을리 하지 말며, 잘 때, 옷 갈아입을 때, 밥을 먹을 때도 주의를 늦추지 말라. 숙박을 소개받아 머물 때에도 잘 살피도록 하며, 감언으로 마중하는 이를 조심하고, 동업자의 안색과 언동을 잘 관찰하라.

트집 잡기를 좋아하는 자는 융통성이 없고, 성질이 나쁘고, 무정하다. 먹기를 좋아하는 자는 사람은 좋으나 간섭이 심하고, 의리를 강요한다. 도박을 좋아하는 자는 부침이 잦고, 나중에 모든 것을 잃는다. 여자를 좋아하는 자는 이곳저곳에서 놀기만 하며, 화를 당하거나 사기를 당한다.

사치를 뽐내는 자는 변변치 못하며, 부를 자랑하는 자는 반드시 남에게 그것을 빼앗긴다. 이런 사람들은 악인은 아니지만, 장사를 함에 있어 실수가 많다. 정직한 이의 말은 귀에 거슬리고, 근검한 이는 자수성가한다.

장사를 함에 있어 성급하게 덤비듯이 말하는 자는 상대방을 반드시 속이려고 함이다. 행동이 무게가 있어 보이고, 여유 있게 이야기하는 자는 틀림없이 성실하다.

재산도 목숨도 걸겠다는 자, 양심이 없는 자들과는 거래하지 말라. 장사의 흥정에는 마음속에서 우러나오는 성의가 없으면 안 된다.

곡물을 취급하는 자는 기후를 관찰하라. 여기저기 다녀보아서 풍작인지 흉작인지 조사하고, 수확 시에 곡물을 비축하라. 쌀과 의류와의 교환은 농번기에 행하지 말라.

세상사는 평온 속에 변화가 숨어 있게 마련이며, 호경기가 왔을 때 불경기의 싹이 자라는 법이다. 가장 좋다고 느끼는 상황에서 결단을 내려 대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최저가로 내려간 상품은 반드시 올라가니, 변화는 평안을 부르게 마련이다. 변화가 심할 때는 사지 말고, 싼 물건이 있으면 주저하지 말고 사들여라.

상인(商人)이란 말이 나오게 된 것은 은나라가 망하고 나서 생긴 말이다. 은(殷)나라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상업을 중시했다. 은나라를 상(商)나라라고 말한 것은 먼저 상에서 나라를 세워 은으로 옮겼다. 그들 또한 상업을 중시했기 때문에 후세에 그 나라 이름인 ‘상(商)’이 ‘장사하다’는 뜻을 지니게 되었으며, 장사꾼을 ‘상인(商人: 즉 은인)’이라 불렀다.

장사 형태에 따라 행상(行商)과 좌고(坐賈)로 구분하였다. 은나라 사람들은 또한 귀신을 중시했다. 귀신에 대한 미신과 숭배는 상당히 보편적이어서 거의 매일 점복(占卜)에 의지하였다.

 

2018년 3월 22일
강원구 행정학박사. 한중문화교류회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